- “‘책임 엄정히 묻겠다’ 정부 입장 확고”,
![]() |
한덕수 국무총리가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임시국무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|
2주 넘게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덕수 국무총리는 8일 “오늘 2차로 철강과 석유화학 분야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한다”고 밝혔다.
한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임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“화물연대의 집단운송거부가 오늘로 15일째 계속되고 있다. 명분 없는 운송거부가 장기화함에 따라 우리 산업과 경제의 피해가 심각하다”며 이같이 말했다.
한 총리는 “(운송거부로 인한) 피해는 고스란히 국가 경제와 민생으로 되돌아온다”며 “집단운송거부로 재고가 쌓여 더이상 가동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. 수출하고자 해도 항만으로 실어나를 물류가 막혔다”고 지적했다.
또 “(피해가) 반도체 등 핵심 산업으로 확대돼 우리 경제 전반 위기로 확대될 우려가 있다”며 “추가로 철강과 석유화학의 운송거부자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했다”고 설명했다.
한 총리는 “이번 조치는 경제위기 상황에서 우리 경제를 지키기 위한 특단의 최선의 노력”이라며 “국가 경제를 볼모로 하는 정당성 없는 운송거부를 지금이라도 철회하고 조속히 복귀해주길 부탁한다”고 강조했다.
또 “정부 입장은 확고하다. 그 책임을 엄정히 묻겠다”며 “이와 함께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경제피해와 국민불편 최소화에 전력을 다하겠다. 국민 여러분도 정부를 믿고 지지해주기를 간곡히 부탁한다”고 당부했다.
앞서 정부는 지난 달 29일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한 바 있다.
지난 2004년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으로 도입된 업무개시명령을 최초로 발동한 것이었다.
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관련 업계의 피해가 심각해 지자 윤석열 정부는 법과 원칙을 바탕으로 한 강경 대응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.
이에 파업에 참여한 일부 화물 운전자들이 파업 대오를 이탈해 속속 업무에 복귀하고 있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.
이동희 기자 news128@naver.com